경제 상식

스톡팜로드와 전남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 추진-샌드박스란?

경제 잘알 포키 2025. 3. 13. 21:18

안녕하세요 포키입니다.

스톡팜로드와 전남의 세계 최고급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서 여러 번 다뤄봤었는데요

오늘은 그 프로젝트의 추가 진행 상황 정리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서론

전라남도는 최근 해남 솔라시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슈퍼클러스터 허브를 구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규제 완화 방안으로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대한민국의 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계획

전라남도와 미국 투자기업 퍼힐스(FIR HILLS, 스톡팜로드 자회사)는 해남군 산이면 구성지구 일원 120만 평 부지에 오는 2030년까지 총 15조 원을 투자하여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 허브에는 3기가와트(GW) 이상의 AI 컴퓨팅 인프라, 데이터센터,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구축될 예정입니다. 이는 미국 북버지니아의 2.5GW, 중국 베이징의 1.8GW를 뛰어넘는 세계 최대 규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난 블로그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freedom1743.tistory.com/entry/%EC%8A%A4%ED%86%A1%ED%8C%9C%EB%A1%9C%EB%93%9C-%EC%A0%84%EB%9D%BC%EB%82%A8%EB%8F%84%EC%97%90-%EC%84%B8%EA%B3%84-%EC%B5%9C%EB%8C%80-AI-%EB%8D%B0%EC%9D%B4%ED%84%B0%EC%84%BC%ED%84%B0-%EA%B1%B4%EC%84%A4-%EC%B6%94%EC%A7%84-%EC%82%AC%EC%8B%A4%EC%9D%BC%EA%B9%8C

 

스톡팜로드, 전라남도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 사실일까?

안녕하세요 포키입니다.https://youtu.be/ZxD9J0ALXPs?si=GwPP620aYJQcUmRm  미국의 벤처 기업 스톡팜로드(Stock Farm Road, SFR)가 한국 전라남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는 소식

freedom1743.tistory.com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 제안

AI 슈퍼클러스터 허브의 성공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 전라남도는 규제 완화 지역을 넓히는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12일 김영록 전남지사가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해당 도입을 구상했다고 전해집니다. 이를 통해 국회 차원의 특별위원회 별도 구성, 국가정책사업으로 확정하는 방안 등이 건의됐습니다.

여기서 샌드박스란, 영국 정부가 2016년 영국 정부가 최초로 도입한 제도로 기존의 규제 체계에서 신사업, 신기술에 대해서 선허용-후규제 방식과 같은 새로운 시도를 허용하기 위해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한국에서는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위한 규제 혁신 5법이 도입이 된 상태입니다.

 

결국 기존의 규제 샌드박스보다 더 광범위한 지역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실험하고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를 통해 AI 데이터센터 구축의 기반을 가속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대 효과와 전망

AI 슈퍼클러스터 허브와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은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경제 활성화: 대규모 투자와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이 기대됩니다.
  • 산업 경쟁력 강화: AI 산업의 집적화로 대한민국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입니다.
  • 인재 양성: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등과의 협력을 통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 내 교육 수준이 향상될 것입니다.

결론

전라남도의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과 메가 샌드박스 벨트 도입 제안은 지역과 국가의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발걸음입니다.

처음 소식을 접했을 때는,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왜 한국에? 라는 의문이 가득했고 브라이언 구(구본웅씨)의 이력에도 의구심이 가득했지만, MOU, MOA가 체결되고 정부 차원에서도 논의가 된다는 점에서 잘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대한민국은 AI 산업의 선도국가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