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의 금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외 경제 상황과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2월 28일 기준 한국과 국제 금 시세, 금 김치프리미엄, 그리고 금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 금 시세
2025년 2월 28일 기준,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24K) 3.75g의 매입가는 505,000원, 매도가는 584,000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한편, 한국표준금거래소에서는 동일한 순금의 매입가를 511,000원, 매도가는 586,000원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금시세닷컴에 따르면 같은 날 오전 10시 26분 기준으로 순금 한 돈(3.75g)의 매입가는 515,000원, 매도가는 580,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각각 5,000원, 8,000원 하락하였습니다.

2. 국제 금 시세
국제 금 시세는 트로이 온스(troy ounce) 단위로 측정되며, 2025년 2월 28일 오전 1시 50분(베트남 시간) 기준으로 금 현물 가격은 1.1% 하락하여 온스당 2,885.13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미국 달러의 강세와 투자자들이 연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다리는 가운데 발생한 하락세입니다.
3. 금 김치프리미엄
금 김치프리미엄은 국내 금 시세와 국제 금 시세 간의 가격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 국제 금 시세를 그램(g) 단위로 환산: 1 트로이 온스는 약 31.1035g입니다. 따라서 온스당 2,885.13달러는 그램당 약 92.74달러가 됩니다.
- 환율 적용: 2025년 2월 28일 기준 원/달러 환율이 1,445원이라면, 그램당 약 133,995원이 됩니다.
- 국내 금 시세와 비교: 한국금거래소 기준으로 1g당 가격은 139,000원이므로, 국제 금 시세 대비 약 3.74%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4. 금 시세 및 김치프리미엄 확인 방법
금 시세와 금 김치프리미엄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한국금거래소: 국내 금 시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국표준금거래소: 금 시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금시세닷컴: 금 시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 사이트에서 가시성 높은 김프 확인이 어려웠는데요 가장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을 찾았습니다.
ETF Check 사이트나 어플에서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바로 볼 수 있네요

이러한 사이트들을 통해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고, 국내외 금 시세 차이를 계산하여 금 김치프리미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금 시세 전망: 글로벌 이슈의 영향
금 시세는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의 관세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는 25%의 관세를, 중국에 대해서는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긴장을 높여 경제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우크라이나와의 협상 결렬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들로 하여금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중국의 보복 관세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무역 갈등은 글로벌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
무역 갈등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5) 환율 변동성 증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요 통화 간의 환율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결론
향후 금 가격은 글로벌 경제 상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변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실시간 금 시세와 시장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신중한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금 김프 20%인 시기가 지나 약 3%의 정상 범주에 도달했기 때문에 다시 금 투자에 관심을 가져도 좋을 듯 합니다.
금은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매매 전략을 수립하여 금 투자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경제의 부활, 25년에는 가능할까? (4) | 2025.03.03 |
---|---|
원달러 환율 1460원 돌파, 원인 및 경제, 주식시장 영향 분석 (3) | 2025.03.02 |
미국의 30년 함정 건조 계획, 한국 조선업의 새로운 기회 (1) | 2025.03.02 |
트럼프-젤렌스키 회담 결렬, 전쟁 다시 재개되는것인가 (4) | 2025.03.01 |
한국 주식시장에 등장한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출범과 그 영향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