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배 레버리지 ETF란?
3배 레버리지 ETF(Exchange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일일 변동률을 3배로 증폭시켜 추종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일반적인 ETF와 달리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지만, 동시에 높은 위험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ETF는 단기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대표적인 상품으로 ProShares UltraPro QQQ(TQQQ),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Direxion Daily S&P 500 Bull 3X Shares(SPXL), Direxion Daily S&P 500 Bear 3X Shares(SPXU), ProShares UltraPro Dow30(UDOW), Direxion Daily Nasdaq 100 Bull 3X Shares(TNA) 등이 있습니다.
저도 미국장에서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단타를 치곤 하는데요, 3배인 만큼 큰 방향을 잘 잡으면 수익이 크기 때문에 중독성도 강한 것 같습니다.
3배 레버리지 ETF의 장점
- 높은 수익 가능성: 지수가 1% 오르면 ETF는 3% 상승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강세장이 지속될 경우 단기간 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기 투자 적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스윙 트레이딩이나 데이트레이딩을 하는 투자자들에게 유리합니다.
- 지수 상승 시 복리 효과 기대: 상승장이 장기간 유지되면 누적된 수익률이 단순 3배 상승보다 더 높은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FNGU라는 상품으로 22년 대비 거의 20배가 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배 레버리지 ETF의 리스크
3배 레버리지 ETF는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투자하기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 하락장에서 손실 극대화: 지수가 1% 하락하면 ETF는 3% 하락합니다. 즉, 연속적인 하락이 발생하면 원금 손실 위험이 큽니다.
- 변동성 위험: 예를 들어, 지수가 하루에 5% 상승했다가 다음 날 5% 하락하면 단순 지수 ETF는 변동이 없지만, 3배 레버리지 ETF는 추가적인 손실을 봅니다. 계산식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날, 지수가 100에서 5% 상승하여 105가 됩니다. 3배 레버리지 ETF는 3배 상승(15%상승)하여 115(100 × 1.15)가 됩니다.
- 둘째 날, 지수가 5% 하락하면 99.75(105 × 0.95)가 됩니다. 3배 레버리지 ETF는 3배 하락(15%하락)하여 97.75(115 × 0.85)가 됩니다.
- 결국 지수는 원래 100에서 99.75로 거의 변화가 없지만, 3배 레버리지 ETF는 100에서 97.75로 하락하여 약 2.25%의 추가 손실이 발생합니다.
- 아래 차트로 비교하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지수는 고점 대비 -16% 이고 우상향 하는 흐름을 보이는데, 3배 지수 차트는 고점 대비 -60% 수준이고 우상향 하지 못하고 있죠? 오히려 차트가 우하향한 흐름으로 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위에 설명드린 위아래로 왔다 갔다 하면서 추가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흔히 말하는 '횡보하면 시드가 녹는다' 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3. 비용 부담: 레버리지 상품은 매일 리밸런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용 비용이 일반 ETF보다 높습니다.
4. 장기 보유에 부적합: 변동성이 클수록 장기 보유 시 누적 손실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지수가 33.3% 이상 하락하면 청산 위험: 레버리지 상품의 특성상 기초 지수가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하면 포지션이 강제 청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배 레버리지 ETF의 경우 기초 지수가 33.3% 이상 하락하면 100%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아이온큐 40% 이상 급락에 따라 아이온큐(IONQ) 3배 상품이 청산(투자 금액이 0원이 되어버림)되는 사건도 있었습니다.
거래량이 많은 3배 레버리지 ETF
거래량이 많은 ETF는 유동성이 높아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상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TQQQ (ProShares UltraPro QQQ): 나스닥 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며, 기술주 강세장에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반도체 업종을 3배로 추종하며, Nvidia, AMD 등의 기술주가 강세일 때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FNGU (MicroSectors FANG+ Index 3X Leveraged ETN): FAANG(Facebook, Apple, Amazon, Netflix, Google) 및 기타 기술 대형주를 3배로 추종하며, IT 및 AI 시장 강세장에서 주목받습니다.
- SPXL (Direxion Daily S&P 500 Bull 3X Shares): S&P 5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ETF로, 미국 대형주 중심의 변동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PXU (Direxion Daily S&P 500 Bear 3X Shares): S&P 500 지수가 하락할 때 3배의 수익을 볼 수 있는 상품으로, 하락장 헤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 UDOW (ProShares UltraPro Dow30):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를 3배로 추종하며, 미국 대표 기업들의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 TNA (Direxion Daily Small Cap Bull 3X Shares): 러셀 20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며, 중소형주 강세장에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3배 레버리지 ETF는 높은 수익 가능성이 있지만, 큰 변동성과 비용 부담을 감수해야 합니다. 특히 장기 보유 시 손실이 누적될 가능성이 높아 단기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기초 지수가 33.3% 이상 하락하면 강제 청산될 수 있는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며, 거래량이 많은 ETF를 활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 또한 3배 레버리지 ETF를 매매하면서 마음 고생도 많이 하고 시드를 많이 날린 경험이 있는데요
만약 해보고 싶으시다면 소액으로 경험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의 경제적 가치와 이를 노리는 트럼프의 의도 (4) | 2025.02.16 |
---|---|
주식 거장들의 투자 방식과 성공 전략 - 우리도 따라해보자 (1) | 2025.02.16 |
AI 시대를 이끄는 도전자들: 타도 매그니피센트7(M7) (4) | 2025.02.15 |
금 매입 방법(현물, 선물 포함) 및 시세 동향 (0) | 2025.02.15 |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과 영향력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