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포키입니다.
2025년 3월 금 시세 및 김프 확인해보겠습니다.
약 3주 전에 20%에 달하던 김프가 5%까지 하락하며 국내 금 매입자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는데요, 현재는 좀 더 안정화됐을까요?
금 김프 급락 20% → 5%, 무슨 일이 있었을까?
최근 한국 금 시장에서 금 김프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불과 며칠 전만 해도 20%에 가까웠던 김프가 5.8%까지 빠졌습니다. 2025년 2월 17일 기준, 국내 금 시세는 1그램(g)당 158,000원이었으며, 같
freedom1743.tistory.com
금 김프(김치프리미엄)란?
김치프리미엄이라는 용어는 원래 가상화폐 시장에서 한국과 해외의 가격 차이를 설명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금 시장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금값이 해외보다 높아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입니다.
또한, 금 김프는 금 괴리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괴리율(Gap Ratio)은 시장에서 실제 거래되는 가격과 본질적인 가치(Net Asset Value, NAV)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자산의 순가치를 의미하는데, 금 시장에서는 국제 시세를 기반으로 한 이론적 금값을 의미합니다. 국내 금값이 NAV보다 높다면 금 김프가 존재하는 것이며, 괴리율이 크다는 뜻이 됩니다.
2025 3월 금 시세 및 금 김프 수준
3월 초인 지금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ETF Check라는 어플이나 사이트를 이용해보시면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비교가 가능합니다.
3/7일 장 마감 기준으로,
국내 금 시세는 g당 139,800원으로 한 돈 기준 52만 4250원 수준이고 글로벌 금 시세는 g당 135,410원 입니다.
금 김프는 3.24%로 4주 전의 20%에 비해 대폭 감소, 3주 전의 5%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했으며 현재는 크게 늘지도 크게 줄지도 않는 수준으로 보입니다.
금 김프 정상화 이유
최근 금 김프(김치프리미엄)가 3%대로 하락하며 안정화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국제 금 시세의 안정화: 최근 국제 금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국내 금 가격과의 격차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금 김프 축소에 기여한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환율 변동성 감소: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줄어들면서, 수입 금 가격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금 가격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470원대까지 가던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로 하락했습니다.
- 국내 금 수요의 조정: 이전에 높았던 국내 금 수요가 다소 진정되면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맞춰졌습니다. 이는 금 김프가 안정화되는 데 기여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완화: 최근 관세 정책 유예 및 완화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금 김프 축소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금 김프가 3%대로 하락하며 안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변화를 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금 김프(김치프리미엄)가 3% 수준이면 어느 정도 정상화된 수준이라고 생각하기에 주식과 코인과 같은 자산시장이 여전히 리스크하다고 생각하시면 금 매입을 고려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전에도 여러번 얘기했듯이 일시적으로 김프가 생긴다는 것은 거품이 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김프가 낮을 때 매수, 김프가 높을 때 매도하는 것도 좋은 트레이딩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김프를 잘 따져보면서 금 모아가봅시다. 저도 매일 ACE금현물 ETF 1주씩 모으고 있습니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 위기? 당신의 포트폴리오는 안전한가요 (2) | 2025.03.11 |
---|---|
미국 증시 계속된 급락, 투자자들 언제까지 버틸 수 있나 (1) | 2025.03.11 |
슈퍼 파월, 쓰러져가던 미국 주식 응급회생 (5) | 2025.03.08 |
트럼프, '추가 매입'없이 비트코인 비축 행정명령 서명 (3) | 2025.03.08 |
MWC 2025 리뷰, 기술 혁신과 중국의 약진 그리고 글로벌 모바일 어워즈 (1) | 2025.03.08 |